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oday
Total
05-05 00:00
Archives
관리 메뉴

Jeongchul Kim

[방과후 지도사] 아동 지도 방법론 07 문제 행동 수정 기법 본문

ETC

[방과후 지도사] 아동 지도 방법론 07 문제 행동 수정 기법

김 정출 2016. 2. 1. 00:35

[방과후 지도사] 아동 지도 방법론 07 문제 행동 수정 기법

VII. 문제 행동 수정 기법

1. 행동 수정

1) 관찰 학습

아동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학습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관찰할 기회를 갖게 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나 부모는 습득시켜 주어야 할 바람직한 행동에 대하여 모범을 보여야 한다. 관찰 학습은 아동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시키고 부적응 혹은 문제 행동은 약화 시켜 나가는 것이므로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 시키는 방법

가. 정적 강화 ( Positive Reinforcement)

바람직한 행동을 한 후 보상의 의미가 있는 강화물로 그 행동을 강화하는 방법이 정적 강화 이다. 예를 들면 방과후 교실에 들어오면서 아동이 선생님께 인사를 하면 선생님은 인사성이 바르구나 하면서 머리를 쓰다듬어 준다. 그러면 이 아동의 인사하는 행동은 더 빈번히 일어 날수 있다. 그때 마다 선생님이 칭찬을 해주거나 미소를 짓거나, 등을 두드려 주거나 관심을 보여 격려 해 주면 이 아동은 인사성이 바른 아동이 될수 있는 것이다.

* 부적 강화 (Negative Reinforcement)

어떤 행동을 한 결과, 그때 까지 주어지던 혐오 자극을 피할수 있었다면 그 행동이 미래에 다시 일어날 확률이 증가 되는 이를 부적 강화라 한다. 예를 들면 한 여름에 상의를 벗음으로서 더위를 피하는 경험을 한 후, 더울 때 마다다 상의를 벗는 행동이 증가 되는 것이다. 정적 강화는 아동들의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시해 주지만, 부적 강화에서는 아동들이 싫어 하는 것을 제거해 줌으로써 행동을 변화 시키게 된다. 즉, 아동들이 부모나 교사의 꾸중과 벌을 피하기 위해서 지시나 요구를 잘 따라 하게 되는 것은 바로 부적 강화의 결과이다.

나. 행동조성 (Behavior Shaping)

바람직한 행동이 아동에게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아주 빈약해서 정적 강화의 방법을 쉽게 사용 할수 없을 때 사용하는 행동 지도 방법이다. 예를 들어, 선생님 말씀에 귀를 기울여 듣게 하고 싶은데, 귀 기울여 듣기는 켜녕 돌아다니기만 한다면 정적 강화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 행동 조성을 할 수 있는데, 혼자 돌아다니다가 한 두 번 선생님을 쳐다 볼 때 그 행동을 강화 시켜 주면, 그 행동은 증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최종 목표 행동에 도달 하는 과정에서 간헐적인 행동을 단계적으로 강화 시켜 가며 바람직한 행동을 조성해 나가는 것을 행동 조성이라고 한다.

다. 상반 행동 강화 (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직접 고치려고 하는 대신에 그와 상반된 좋은 행동을 강화 시킨다면 바람직 하지 못한 행동이 점차 사라 지고 바람직한 행동이 강화된다는 원리이다. 예를 들어, 교실을 어질러 놓은 아동을 야단만 친다고 해서 정리를 잘하게 되는 것은 아니므로, 어질러 놓는 행동의 상반된 행동인 깨끗이 정리하는 역할을 맡기면 어지럽히는 행동은 줄어 들수 있다. 깨끗이 치우고 정리하는 행동은 단순한 지시로 이루어 지기는 어려우므로 아동에게 정리 조장, 청소부장 등 소속 집단에서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 해 주면, 어질러 놓는 행동을 고치게 된다.

라. 행동 계약 ( Behavior Contract)

프리맥 원리라고도 하며, 빈도가 높은 행동이 빈도가 낮은 행동을 강화 한다는 것이다. 아동은 자기가 흥미를 느끼는 일에는 먹는 것도 잊고 오랫 동안 몰두 하며, 흥미 없는 일은 쉽게 싫증을 내고 하지 않으려고 한다. 재미 있는 놀이는 빈도가 높은 행동이며 싫어 하는 학습은 빈도가 낮은 행동이다. 이때 재미있는 놀이가 싫어 하는 학습 행동을 강화 시킬수 있다. 즉 10분간 공부를 한후 30분간 놀기로 아동과 계약을 맺고 약속을 지켜 주면 공부하는 행동을 증가 시킬수 있다. 이때 매우 점진적으로 수행해 나가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시간을 늘려 갈 수 있는데 야단을 치거나 강압적으로 무언가를 하게 하는 것보다 유연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마. 토큰 강화 (Token Reinforcement)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물리적 또는 사회적 보상을 직접 제공하는 대신 구매력을 가진 상징인 표나 점수등을 주는 강화 방법을 말한다. 정적 강화와 동일 하지만 물질적 보상이 직접 주어지지 않고 대용품이 주어진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난후 물질적 강화 자극이 주어진다는 점이 다르며 토큰을 주는 것 자체도 즉석에서 사회적 보상의 역할을 한다. 토큰이 강화 자극의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는 구매력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토큰은 가정, 학급, 학교, 병원 등 특정의 집단 내에서 통용 될 수 있는 화폐와 같은 기능을 지니게 되며, 이는 일정한 약속에 따라 아동이 원하는 물건이나 특혜와 교환 할 수 있다.

3)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 시키는 방법

가. 소멸 (Extinction)

소멸이란 지금까지 어떤 행동을 지속하도록 강화 시켜준 자극을 제거함으로서 그 행동을 감소 또는 종식 시키는 방법이다. 어떤 행동이든지 그 행동의 결과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결과가 만족 스러울 때 그 행동의 빈도와 강도는 증가 된다. 반대로 그 결과가 만족 스럽지 않을 때에는 그 행동이 약화된다. 예를 들어 공부를 하기 싫어 할 때 마다 과자를 주어 공부를 하게 하면 아동을 과자를 먹고 싶을 때마다 공부를 하기 싫다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공부를 하기 싫어 할 때는 무관심한 반응으로 대하여 공부를 하게 하고, 스스로 알아서 공부를 잘 할 때에만 과자를 주면 아동이 숙제 하기 싫다고 하는 행동은 감소하고 자율적으로 공부를 하는 행동은 강화 된다. 즉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무관심으로 소멸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은 보상을 통해 정적 강화를 하는 것이다.

나. 벌 (Punishment)

바랍직하지 못한 행동을 없애는 방법을 말하는데 때로는 벌이 오히려 강화 자극이 되어 행동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떠들어서 복도에서 손들고 있는 벌을 받았는데, 손들고 벌을 서면서 옆의 친구와 장난을 치며 벌서는 것 자체를 즐긴다면 그것은 벌이 될 수 없다. 즉 아동의 행동 지도시 사용한 벌이 문제된 행동을 감소 시켰을 때에만 벌이라고 할수 있다. 벌은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쉽게 활용되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감소에 유용하지만 부작용이 있을수 있으므로 유의 해서 사용해야 한다.

벌을 사용할 때는 다음의 내용들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문제 행동을 벌한다고 반드시 새로운 행동이 저절로 습득되는 것은 아니다. 벌받은 행동은 줄어들거나 없어 질수 도 있지만 이와 상반된 좋은 행동이 습득된다는 보장은 없기 때문이다.

둘째, 벌은 벌을 주는 성인이나 벌을 받는 아동에게 좋지 못한 정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기분 좋게 주고 받는 벌은 벌로서의 효과를 지니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벌을 사용하는 경우 벌받은 문제 행동 뿐아니라 다른 행동도 감소 시킬 우려가 있다.

넷째, 벌은 바람직 하지 않은 행동을 하지 말라고 주는 것이지만, 아동은 아예 벌 받는 상황 으로부터 도피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다. 포화 (Satiation) 에 의한 행동의 약화

어떤 행동을 유지 시키고 있는 강화 자극을 빈번히 주거나 일시에 많이 제공하여 강화력을 잃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문제 행동이 위험을 동반하지 않거나 아동 자신이 그 행동을 지속함으로써 다른 문제를 야기 시키지 않을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편식을 할 때 마다 부모가 걱정하고 더 맛있는 음식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계속 편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아무런 다른 반응을 보이지 말고 아동이 편식하는 음식만 계속 주면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 음식에 싫증을 내고 다른 음식을 찾게 된다. 포화를 사용할 때에도 정적 강화를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문제 행동을 좋은 행동으로 바꾸어 줄 수 있다. 즉 문제행동은 포화로 소멸 시키면서 그와 상반되는 좋은 행동을 강화 시켜야 하는 것이다.

라. 타임아웃

문제 행동을 일으킨 상황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킴으로서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일종의 벌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벌보다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적은 방법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의 할 것은 분리시키는 시간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동은 대개 3-5분정도 길어도 5분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