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oday
Total
05-04 17:52
Archives
관리 메뉴

Jeongchul Kim

[방과후 지도사] 아동 지도 방법론 08 문제 행동에 따른 구체적인 지도 방법 본문

ETC

[방과후 지도사] 아동 지도 방법론 08 문제 행동에 따른 구체적인 지도 방법

김 정출 2016. 2. 1. 00:39

[방과후 지도사] 아동 지도 방법론 08 문제 행동에 따른 구체적인 지도 방법

VIII. 문제 행동에 따른 구체적인 지도방법

1.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이란 아동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 오고자 하는 일련의 기법들을 말한다. 행동 수정의 목표는 개인이 사회에 능률적으로 적응해 나감에 있어서 필요한 행동을 개발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 행동으로는 성격 부적응으로 인한 충격. 스트레스 등으로 정서적 장애 증상이 나타나거나, 학업을 따라 가지 못하여 학습 동기. 성취동기와 학습에 대한 흥미. 욕구 등이 떨어지고, 그리고 반 사회적 행동과 공격적 행동 등이 다양하게 나타 난다.

이러한 문제 행동의 원인은 개인의 유전적. 정서적 결함과 성격적으로 이상이 있는 경우, 또는 가족 내의 불화. 갈등. 결손 가정 등 가정환경의 영향을 받거나 부모의 불합리한 양육에 기인한 경우, 학교 내에서의 갈등과 학교 생활 및 교사 등에 대한 부적응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문제 행동을 지도 할 때에는 아동 개인과 주변 상황을 면밀히 살펴 보고, 그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는 일이 선행 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지도 계획을 수립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령기 아동에게서 보일수 있는 문제 행동에 따른 방과후 아동 지도사의 역할을 다음과 같다.

1) 반항

5세 이후에 맞게 되는 제 2의 반항기는 아동이 심신의 전면적인 독립을 요구 하는 시기이다. 성인들이 아동의 내면 세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하면 반항적 행동을 하기 쉽다. 가정 생활과 부부의 태도를 모방하여 아동이 반항적인 성격을 보이기도 하며 자녀에게 마음이 약한 어머니, 혹은 자녀를 무시하는 언행을 사용하는 부모, 그리고 정당한 인정과 칭찬이 결여되고 있고 체벌과 칭찬에 일관성이 없을 경우 아동에게 반항 적인 성격이 나타난다. 이런 경우의 아동은 교사의 말을 믿지 않고 의심하며, 말을 하지 않는 다든지, 화난 듯이 물건을 만지거나 던지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반항 행동을 하지 않게 하려면 방과후 아동 지도사는 아동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며 따뜻한 태도로 상대를 해 주어야 한다. 칭찬이나 인정을 해주고 아동의 입장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하며, 충분한 사랑을 베풀어서 신뢰감을 가질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약속에 관하여서는 단호하고 진진한 태도를 가져야 하며, 지시나 명령 보다는 권고와 요청의 입장을 취해야 한다.

2) 습관적인 거짓말

아동들의 거짓말은 공상에서 나오거나 흉내 또는 모방에 의해 흔히 일어난다. 뿐만 아니라, 아동은 자신을 합리화 하려 하거나 보상을 바라고 거짓말을 할 수도 있다. 습관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아동에게는 공상의 세계에서 현실의 세계로 아동의 생각을 돌려 주고 일상생활에 흥미를 갖도록 해 주며, 모방에 의한 거짓말을 방지 하기 위해 어린이들 앞에서는 과장 하거나 상상해서 말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거짓말을 하는 아동은 타인으로부터 주목 받기 위해서 혹은 칭찬 받기위해서도 거짓말을 하기도 하고, 자기 방어를 위해서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아동은 벌을 받거나 야단을 맞지 않으려고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아동이 금지된 일을 하였을 때는 그 이유를 너무 과하게 캐묻지 말아야 거짓말하는 기회가 줄어든다. 아동이 사실대로 말하면 수용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대신 잘못된 행동임을 확실하게 아동에게 인지 시켜 주어야 한다. 거짓말을 할 때는 너무 지나치게 꾸중하거나 잔소리를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스스로 잘못을 시인하고 인정하며 그대로 두도록 하고, 교사는 아동이 거짓말을 한 원인을 잘 파악하여 거짓말의 위험성과 부정성에 관하여 잘 교육해야 한다.

3) 욕설

학령기에 접어든 아동들은 대중 매체를 통해서 또는 또래 집단의 영향으로 욕설을 배우게 되는데, 모방에 의해 이러한 행동은 강화되고, 공격의 수단으로 사용 되기도 하며, 지능이 낮고 이해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욕설을 자주 사용 할 수 있다.

아동이 욕을 사용하면 무관심하게 두거나 올바른 말로 모범을 보여야 한다. 또한 고운말을 쓸 때 칭찬하고 욕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해 주며 나쁜말을 쓸 때마다 어떤 꾸중을 할지 어린이가 결정하게 하여 습관이 되지 않도록 한다.

아동의 욕설은 집단에서 고함을 지르는 행동과 관련 될 수 있는데, 만약 아동이 적개심이나 감정의 표현으로 욕을 했다면 방과후 아동 지도사는 그러한 감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다른 방향으로 표현 하도록 지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정하게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올바른 언어 사용법을 가르쳐 주어 듣기 좋은 말을 해 보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질투심

아동들은 부모나 교사의 사랑을 독차지 하려고 하여, 그들의 관심을 다른 아동에게 빼앗긴다고 여길 경우에 적대감과 질투심을 느끼는데, 이는 근본적인 자기 보호의 본능일 수도 있지만, 아동기로 들어서면서 지기 싫어 하는 심리에서 일어 나게 된다. 이러한 아동은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진행을 방해 할 수 있는데, 이럴 때 방과후 아동 지도사는 직접적으로 야단치는 것을 피하고, 교사의 관심을 표현해 주면서 단체 활동에서 지켜야 할 사항을 아동에게 되새겨 주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아동에게는 서로 비교하거나 칭찬 등의 보상으로 자극하지 않는 것이 좋다.

5) 말을 하지 않는 아이

타인과의 접촉 경험이 적은 경우, 마음에 충격을 받았던 경험이 있는 경우, 혹은 청각 및 발성 기관에 결함이 있는 경우와 부모의 거부 등으로 인해 말을 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아동은 수줍음, 의사 소통 장애, 위축등으로 교사나 아동들간에 상호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며 비참여적 행동을 하게 된다. 이에 방과후 지도 교사는 생활학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과거의 실패 경험이나, 낯선 환경에의 적응 실패 등 어떤 것에 기인한 것인지 파악하고, 자신의 의사 표시를 하는 것을 강화하여 표현력을 증진시킬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즉, 장점을 찾아 칭찬하고 인정해 주며 쉬운일을 시켜 자신감을 간제 한다. 친구들과 개인적인 시간을 갖도록 하고, 어울릴 수 있는 시간도 만들어 주도록 하며, 아동이 가장 흥미를 나타내는 영역의 집단 활동에 참여 하도록 유도하며 지도한다.

6) 폭력

친구를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의 난폭한 행동을 하는 아동은 부모의 양육 태도 (편애, 고압적인 태도) 나 가정 환경 (폭력적인 부모, 유해한 환경에 방치 등)이 원인인 경우가 있다. 또한 아동들간의 싸움은 주변 인물의 모방과 부모의 무관심 또는 교육의 부족인 경우도 있다. 때로는 분노나 좌절을 느꼈을 때 감정을 다스릴 수 있는 통제력이 부족하거나 적절한 방법을 알지 못해서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들이 싸운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온정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일에 신경을 쓰고, 적대감이나 감정을 적절하게 통제하는 방법을 알려 주어야 한다. 분노나 좌절을 다루는 다른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가르침으로 물건을 던지는 대신 말로 한다거나 다른 방법으로 할 수 있는 대안을 가르쳐 주어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폭력이 정당화 될 수 없음을 반드시 인식 시켜 주어야 한다. 행동 수정 방법으로 물건을 던지면 타임 아웃을 사용하여 그 행동이 감소 하도록 지도 할 수도 있다. 아동에게 때리거나 던지는 행동 대신에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이 나타나면 칭찬해 주고, 때리거나 던지는 행동이 없어지고 나서도 적절하고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여 주어야 한다.

7) 도벽

아동이 남의 물건을 훔치는 버릇을 가지고 있다면, 아동은 자기 통제 훈련과 소유 관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생길수도 있고, 교육적으로 잘못된 학습을 한 경우 일수도 있다. 소유욕이 강하거나, 부모나 성인의 주목이나 관심을 끌기 위해서 혹은 부모에게 복수 하기 위한 심리적인 요구에 의해서 친구들의 물건을 훔치기도 한다. 부도덕한 가정의 분위기를 모방하여 도벽이 생기는 경우도 있으며, 사춘기 여아의 경우 생리적 요구에 의해 도발적으로 일어 나기도 한다. 이러한 아동들은 충동 조절이 미약하고, 타인에 대한 감정 이입이 부족하며, 자존감이 낮고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아동이 도벽을 나타내기 쉽고, 일반적으로 거짓말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아동들은 원인을 잘 파악해 내야 올바르게 수정해 줄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소유의 개념을 심어주고, 자기와 타인의 소유물 구분을 명확하게 하여 정당한 수단에 의해서 소유의 욕구를 충족 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 만약 물건을 훔친 아동을 찾아내거나 처벌 하는 데에만 집중하면 오히려 아동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며, 전체 아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도 나쁠 수 있다. 아동에게 수치감을 주지 않도록 지도 해야 한다.

8) 틱

틱 (tic) 은 비자의적으로 반복적인 근육 경련을 일으키는 것으로 욕을 계속 내 뱉기, 눈 깜빡 거리기, 얼굴을 찡그리기, 어깨를 으쓱 거리기 등 그 유형이 매우 다야하다. 이러한 행동은 시간이 갈수록 일종의 반사 행동처럼 고착 되어 신체적인 문제로 나타나게 되고, 열등감과 정신적인 문제로도 확산 되게 되므로 조기에 수정 해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틱행동은 심한 구속을 받을 때 금지. 비난. 경고 등의 훈육에 억눌림으로써 움직이려는 충동이 억제되어서 또는 관심을 잃거나 애정 결핍을 느낄 때 나타난다. 틱 행동의 해소를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행동하게 하고, 정신적인 긴장을 풀어 주어야 하지만, 틱 행동 자체에 관심을 두면 증세가 악화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무시하면서 관심과 애정을 표시해야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 게임에 지나치게 몰두 함으로써 이러한 반복적 틱 행동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상태가 심각 할 경우 에는 정신상담과 치료가 꼭 필요하다.

9) 성적인 놀이를 하는 아동

성에 대한 관심이 많고 불만이나 불안이 가득하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아동들이 성적 놀이를 하기도 하며,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성적 놀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아동은 신체에 관한 지식을 알려 주고 불평. 불만을 해소 할수 있는 활동적인 놀이와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더불어 또래 친구들을 많이 사귈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10) 친구들로부터 왕따를 당하는 아동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받거나 모든 친구들이 싫어 하는 아동은 욕을 잘하고 제 할 일을 하지 않는 아동이나 감독자 같이 친구들에게 지시와 명령. 간섭을 마음대로 하는 아동, 혹은 지능이 현저히 높거나 낮은 아동, 싸움을 잘하고 잘 때리는 아동들이다. 이러한 아동들은 모든 면의 조화로운 발달을 꾀할 수 있도록 하고 올바른 사랑을 흡족하게 주어야 한다. 서로 협력하는 집단 놀이를 권장하고, 말로서 자신의 의사를 표시 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

11) 돈을 자주 요구 하는 아동

돈을 너무 자주 주어 습관이 되었거나 친구들에게 자랑하기 위해서 혹은 애정 결핍등의 심리적인 이유로 아동들이 돈을 자주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일정한 액수를 정해서 주거나 간식을 주비해 놓거나 만들어 주어서 돈을 요구할 빌미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저축하는 습관을 길러 주거나 시장 놀이를 권장하여 행동을 수정하도록 한다.

12) 손톱을 물어 뜯는 아동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서 까지 손톱을 물어 뜯어서 손톱 모양이 변하는 아동들이 있는데 손톱을 물어 뜯는 원인은 긴장과 불안을 느껴서 혹은 욕구 불만과 무료함으로 인한 습관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있다. 칭찬과 격려로 정신적 안정을 시켜 주고 손톱을 아름답게 가꾸는 것을 인식 시킨다. 또한 긴장, 불안, 공포 등의 근본적인 문제를 잘 원인 분석하여 해결해 주고 흥미 있는 장난감 제공, 또는 손가락을 사용하는 놀이는 시켜서 주의를 환기 시킨다.

13) 오줌을 잘 싸는 아동

정서적으로 긴장하거나 걱정이 있을 때 혹은 동생이 태어나 부모의 사랑을 동생에게 빼앗겼을 경우, 애정과 관심의 결핍으로 퇴행 현상중 하나로 나타나기도 한다. 가끔은 배설 기관에 이상이 있는 아동의 경우 오줌을 싸기도 한다. 오줌을 잘 싸는 아동의 경우 그 원인이 기질적이면 전문의의 치료가 필요하고 정서적인 문제라면 안정감을 주고 긴장을 없애야 한다. 또한 자존심과 자립심을 길러 주고 오줌을 싼 경우에는 비난 하는 잔소리를 하지 하지 않도록 한다.

14) 신경질적인 아동

보통의 아동들보다 신경질을 많이 내는 아동은 유전이나 비만, 허약등의 체질이 원인 일수도 있고 가정적인 불화, 부모의 잘못된 태동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그 원인 일수도 있다. 간섭과 잔소리를 많이 하는 부모의 경우에는 양육 태도를 바꾸고 화목한 가정 분위기를 조성할수 있도록 부모의 협조를 받을수 있도록 부모와의 상담도 필요하며, 또한 건강한 체력을 위한 운동을 장려하고 자연과 접할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주는 것이 좋다.

  




Comments